2021-05-12 뉴스 모음
2021-05-12 뉴스 모음
인도 18일간 교수 34명
북부 우타르프라데시주의 알리가르 무슬림대(AMU)에서는 최근 18일 동안 전·현직 교수 34명 이상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511085600077?input=tw
기업 2곳의 코볼 탈피
DWP
존스는 “코볼 스킬과 관련된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더 광범위한 현대화 문제다. 현대적 시스템, 모바일 및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형 메인프레임에 통합하기가 정말 어렵다. 경쟁 우위 측면에서 보면, 메인프레임 이용이 불리하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한다면, 결국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의 70%를 호스팅하고 있는 구석의 큰 메인프레임실의 코끼리를 다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런 구식 제약에서 벗어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비슷한 상용 소프트웨어를 찾으려 시도하거나, ‘리프트 앤 쉬프트’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더 저렴한 인프라로 옮기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자바나 C# 같은 현대적 언어로 다시 쓸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방법이든 위험이 따른다.
‘리프트 앤 쉬프트’는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은 변경하지 않고, 구식 플랫폼의 애플리케이션을 더 현대적인 인프라로 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접근법을 이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이전처럼 계속 실행되도록 대상 플랫폼에서 에뮬레이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더 현대적인 언어로 다시 쓰는 방법이다. 존스는 “다시 쓰는 방법에도 도전과제가 있다. 이런 시스템들의 경우 도큐멘테이션이 제한된 30년 된 애플리케이션이고, 이를 철저히 이해하는 사람이 드물다. 따라서 많은 시간이 걸린다. 올바르게 하면 클라우드 네이티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되기 전에 이미 뒤쳐질 수도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많은 조직들이 안전한 ‘중간 옵션’을 선택한다. 이른바 ‘코드 리팩토링(Code refactoring)’이다. 코드를 일정 수준 재구축한다. 전문 공급업체의 자동화된 리팩토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비즈니스 로직은 유지하면서, 핵심 기능을 크게 바꾸지 않고 성능과 이동성을 강화하는 기법이다. 메인프레임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에 전문화된 서비스를 공급하는 Lz랩스(LzLabs) 마크 크레스웰 회장은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DWP 엔지니어들이 구식 시스템 탈피를 시도한 것은 처음이 아니었다. 몇 년 동안 이 지불시스템의 현대화를 4번이나 시도했었다. 특히 장기간에 걸쳐 코볼 코드를 자바로 다시 쓰려 시도했지만 실패하기도 했다. 결국 플랫폼의 수명이 끝나가고 있었다. 능률적인 전략을 수립했고, 어드밴스드 소속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았다.
조직은 전략을 추진하면서 코볼 코드를 더 현대적인 객체 지향형 마이크로 포커스 비주얼 코볼(Micro Focus Visual Cobol)로 바꿨고, VME 운영 체제를 레드햇 리눅스로 바꿨다. 그리고 영국 내각 정부기관과 민간 아크 데이터 센터(Ark Data Centres) 간 합작 법인인 크라운 호스팅 데이터 센터(Crown Hosting Data Centres)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에 호스팅했다. 100억 줄 이상의 데이터를 폐쇄적이고 계층적인 IDMSX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라클(Oracl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옮겼다.
참고로 마이크로 포커스의 비주얼 코볼은 현대적인 개발 환경과 개념을 목표로 코볼 언어를 더 현대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어드밴스드의 존스는 “혼합된 언어를 지원한다. 동일한 개발 환경 내에서 기존 코볼 언어와 매끄럽게 통합되는 새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자바와 C# 개발자를 참여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즈
뉴욕 타임즈의 엔지니어들은 코드 리팩토링 기법, 전문 파트너 기업인 모던 시스템(어드밴스드가 이후 인수)의 자동화 리팩토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코드와 데이터를 이전하는 전략을 추진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코드를 자바로 변환했고, 데이터를 인덱스형 파일에서 관계형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로 바꿨다. 여기에 2년이 걸렸다. 1년이 조금 안되는 기간 프라이빗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을 했고, 8개월 동안 추가 작업을 해서 2018년 3월에 AWS로 아리스토(Aristo)라는 새 애플리케이션을 마이그레이션했다.
https://www.ciokorea.com/news/193619?page=0,1
eBPF on Windows (github.com)
- 리눅스의 eBPF를 MS가 직접 윈도우에 구현하는 프로젝트 (WIP)
- 기존 eBPF 툴체인(Clang등)으로 생성한 바이트코드를
- 유저모드에서 PREVAIL Verifier를 이용해서 검증하고 IOVisor uBPF로 JIT 컴파일
- 커널모드에서 uBPF 인터프리터 또는 JIT컴파일된 코드를 실행
- TCP/IP 및 NDIS에 대한 eBPF Shim을 제공
- 기존 eBPF가 그대로 실행되도록 소스코드 호환수준을 목표로 하지만, Linux 특정된 것들은 어려울 것
- libbpf API를 호환되게 노출
기타
- GTA5 Enhancing Photorealism Enhancement https://www.youtube.com/watch?v=P1IcaBn3ej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