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06 뉴스 모음
2021-05-04 뉴스 모음
원격 근무 리포트 2021 [51p PDF] (about.gitlab.com)
- GitLab이 Dropbox/Qatalog 등과 함께 전세계 3900명의 원격 근무자 대상 조사
- 52%가 원격 근무가 가능하다면 현재 위치가 아닌 회사도 갈 수 있음, 응답자중 1/3은 원격근무가 불가능하다면 새로운 롤을 찾거나 은퇴할 것
- 34%가 리더십의 투명성이 직장에서 더 깊은 유대감을 준다고 하고, 38%는 조직내 업무에 대한 가시성이 커지면 유대감이 향상된다고
- 즉, 다른 사람이 무엇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쉽게 볼 수 있을 때 팀의 일원처럼 느끼기 더 쉬움
- 원격근무에 대한 표면상 높은 수준의 만족도와 매일 느끼는 실제 고통 사이에는 단절이 있음
- 5명중 4명이 원격 근무를 권장하고, 81%가 생산성에 만족하지만, 조직 전반의 팀워크는 어려움을 겪고 있음
- 37%만이 자신의 조직이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작업을 잘 조정하고 있다고 답변
- 회사에 주는 장점 (응답자 비율)
- 생산성 증가 42%, 효율성 증가 38%, 관료주의 및 사내정치 감소 24%, 문서화 및 프로세스 개선 20%
Amazon CloudFront Functions 공개 (aws.amazon.com)
- 218개의 CloudFront Edge에서 JS코드를 실행하는 경량 서버리스 스크립팅 플랫폼
- 풀 서버리스인 Lambda@Edge 보다 더 끝단에 있고, 기능은 간단한 HTTP Req/Res 용도로 짧은 생명주기를 가짐
- Lambda@Edge(L@E)는 VM기반, CloudFront Functions(CFF)는 프로세스 기반 Isolation
- L@E 와 CFF 둘다 같이 사용 가능
- CFF : 네트웍/파일 접근 안됨. 1ms이하의 실행시간. Req 바디 접근 불가. 프리티어 제공. 가격은 L@E의 1/6
- 사용 예
- 캐쉬키 관리 및 정규화
- URL Rewrite 및 Redirect
- HTTP Header 조작
- 접근 권한 관리
버크셔 해서웨이의 주식 가격은 현재 Nasdaq 컴퓨터가 처리하기에 너무 큼 (wsj.com)
- Nasdaq 은 주식 가격을 32비트 숫자로 100분의 1 페니 까지 저장
- 즉, $429,496.7296 (2^32 / 10000) 까지 저장 가능
- 현재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 가격은 1주에 $421,000(4.7억원)
- 나스닥은 잠시 주식 가격 브로드캐스팅을 중단 시켰고, 이 달말까지 문제 해결을 위해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라고
- 나스닥 거래소가 버크셔 헤더웨이 주가를 갱신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졌는데 처리를 고속화하기 위해서 주가를 32비트 수치로만 처리하기 때문에 4,294,967,295 까지만 숫자를 다룰 수 있고 버크셔 주가가 한계인 429,496.7295달러에 육박하자 멈춘것. 이달중으로 고친다고.
주식계의 Y2K가 터진 이번 사건의 원인은 워런 버핏이 “내가 버크셔 주식을 액면분할 할때까지 오래오래 살라”고 지인들에게 카드를 발송 할 정도로 액면분할을 안하는걸로 유명해서라고. (…)
체포됩시다! 프로젝트 (github.com)
일본에서 13살 학생이 무한으로 alert 팝업이 뜨는 홈페이지 링크를 공유했다가 경찰에 체포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while (1) {alert("!");}
일본에서 위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범죄 취급을 받으니, 범죄를 저지르고 체포됩시다!
어떻게 하면 체포될 수 있죠?
- 해당 프로젝트의 gh-pages 브랜치를 포크하고, 깃허브페이지 링크를 공유하면 됩니다. 범죄생활을 만끽하세요!
체포되지 않으면 어떻게 하죠?
- 경찰에 가서 자수하세요
오버워치 새별비 선수 보이콧
중국 플랫폼에서 방송했을때 대만과 홍콩을 말할수 없었고, 모든 중국 매니저들이 ‘중국 돈을 벌려면 중국 개가 되어야한다’라고 말했다고 해서
브링햄 영 유니버서티 연구자들이 디스플레이가 필요없는 떠다니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레이저로 생성
기존 홀로그램의 제한된 시야각과는 달리, 관찰자는 이러한 자유롭게 떠 다니는 광학 트랩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으며 떠 다니는 이미지가 실제로 3D 공간에 그려지기 때문에 3D 효과가 사라지지 않고 그 주위를 쭉 걸을 수 있습니다.
스크린은 레이저로 대체됩니다. 즉, 공중에 떠 다니는 작은 불투명 입자를 조작하는 보이지 않는 것, 그리고 미리 정의 된 경로를 통과 할 때 입자가 다른 색상으로 조명을 비추어 떠 다니는 이미지로 보이는 것을 생성하는 가시적 인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12i_FaHvOU&list=TLGGbyUMLSISdIswNTA1MjAyMQ
NES 테트리스
30여년 역사의 NES용 테트리스에서 조각을 빠르게 움직이는 새로운 기법(rolling)을 개발한 선수가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고
D패드의 뒷면을 두드려서 초당 20회 이상(!)의 타격이 가능. 슈퍼마리오도 그렇고 고전 게임에서 계속 신기록을 만들어내는 신기한 사람들
메소포타미아 점토판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기록은 잘 구워진 단단한 점토판 위에 남아있음.
아이러니한 점은 당시 사람들은 점토판을 말리기만 했을 뿐, 굽진 않았단 점인데.
어떻게 단단하게 구워질 수 있었냐면, 바다민족이 도시를 불태우면서 도서관 안에서 점토판이 노릇노릇하게 구워졌기 때문임.
부리가 커서 멸종된 새
인간이 상륙하기 전 고대 호주에는 지금보다 더 다양하고 독특한 생물들이 번성했습니다. 날지 못하는 거대 조류인 드로모르니스과(Dromornithidae)도 그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수천만 년 간 호주에서 번성하다가 인류가 상륙한 지 얼마 되지 않은 5만 년 전 갑자기 멸종했습니다. 키가 3m에 달하는 거대 조류의 멸종에 인간이 관여했는지를 포함해서 많은 것들이 베일에 쌓여 있기 때문에 여러 과학자들이 그 비밀을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새들은 모두 눈이 매우 좋았으며 앞쪽으로 향한 두 눈 덕분에 먹이를 수월하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거대한 몸집과 부리에도 불구하고 주된 먹이는 나뭇잎과 과일이었습니다. 드로모르니스는 크고 강력한 부리를 이용해 매우 단단한 식물이나 과일도 먹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큰 부리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댓가를 치뤄야 합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보고된 조류 가운데 두 번째로 큰 D. stirtoni의 두개골이 근연종의 다른 조류와 달리 매우 높고 옆으로 퍼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CT 스캔 결과는 이 새가 크고 단단한 부리를 강한 힘으로 물기 위해서 큰 근육을 지니고 있었고 그 결과 두개골의 모양도 크게 변했다는 사실을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변형된 두개골에 들어가기 위해 뇌의 모습 역시 바뀔 수밖에 없었습니다.
기타
- SpaceX 정상착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