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ags

On this page

2021-04-16 뉴스 모음

2021-04-16 뉴스 모음

새로운 HTTP SEARCH 메소드 (httptoolkit.tech)

  • IETF에 새 Draft로 추가된 SEARCH 메소드 소개
  • 복잡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선 기존 GET/POST 만으로는 비효율적
SEARCH /customers HTTP/1.1
Host: example.com
Content-Type: application/sql
SELECT username, email
WHERE DATEDIFF(DAY, GETDATE(), signup_date) > 7
  • 실제로 SQL문장이 표준으로 사용되는 건 아니고, 리퀘스트 바디에 검색을 위한 이런 컨텐츠가 가능하다는 것
  • 이를 통해서 한개의 URL에 대해서 GET,POST,SEARCH 가 모두 가능해짐
  • Accept-Search 헤더를 통해서, 검색에 사용하는 포맷들을 지정 가능 -Accept-Search: application/sql, application/graphql
  • WebDAV 에 있었던 SEARCH 메소드 표준에 기반 (rfc5323)

리눅스 커널에서의 Rust 지원을 위한 RFC (lkml.org)

  • 커널의 두 번째 언어로 Rust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
  • 코어나 주요 커널 하위시스템을 다시 작성하는게 아닌, 드라이버 및 그와 비슷한 "Leaf" 모듈들을 Rust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Rust를 리눅스 커널에서 사용하면

  • 언어적 속성 때문에 메모리 세이프티 버그, 데이터 경합 및 논리 버그의 위험이 줄어듬
  • 메인테이너가 Rust의 안전함 때문에 모듈을 리팩토링하고 패치하는데 더 자신있게 할 수 있음
  • 최신 언어 기능 및 상세한 문서화 덕분에 새 드라이버와 모듈을 쉽게 작성 가능
  • 더 많은 사람들이 최신 언어를 사용하여 커널개발에 전반적으로 참여 가능

"Why Rust?"

  • Linux 커널의 컨텍스트상, C에 비해 몇가지 주요 이점을 제공
    • (언어적 장점은 생략..)

"Why not?"

  • Linux 커널의 컨텍스트상, C에 비해 이런 단점이 있음
    • 컴파일러 플러그인, Sanitizer 등을 포함한 C 기반 툴링에 노력을 기울여왔음. 이건 시간이 지나면서 Rust 사용이 증가하면 개선 될 것
    • LLVM 기반의 단일 구현체. GCC 프론트엔드, Cranelift 기반의 'ructc' 백엔드, 부트스트래핑 체인을 줄이기 위한 'mrustc' 와 같은 노력이 진행중
    • 아직 표준화 되지 않음. 표준화가 커널에 도움이 될지는 확실하진 않지만..
    • 현재 컴파일러의 복잡한 기능과 제한으로 인해서 컴파일 속도가 느림
    • 현재로서는 Nightly 빌드에 있는 기능이 필요. 안정 버전을 사용 불가. 1년 내에 이 제한을 없애는걸 목표
    • 'core' 및 'alloc' Rust 표준 라이브러리에 있는 기능이 다 사용되지 않아서 현재 필요한 부분보다 큼
  • 이러한 단점의 대부분은 Rust 가 아직 젊고 덜 사용되는 언어라는 사실에서 발생
  • 지난 수십년 동안 C가 그랬던 것처럼 Rust 가 시스템 프로그래밍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음 이 RFC에 대해서 Linus Torvalds옹이 답변을 달았습니다 https://lkml.org/lkml/2021/4/14/1099

"So I replied with my reactions to a couple of the individual patches, but on the whole I don't hate it."

전반적으로는 싫어하지 않는다고 하셔서 잘 흘러가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미국에서 케첩 부족이 계속되는 와중에 케첩 암시장이 등장

https://gizmodo.com/theres-a-black-market-for-ketchup-packets-now-1846689465

드웨인 존슨

드웨인 존슨, 美 대선 지지율 1위…"기꺼이 국민 위해 봉사"
뉴스위크의 조사는 4월 2일부터 4일에 걸쳐 온라인으로 실시돼 약 3만 명으로부터 답변을 얻은 결과다.

코로나 암 치료

헐... 원래 암이 있던 사람이 코로나에 걸려서 치료를 했는데 코로나가 낫고나서 다시 스캔을 했더니 암이 사라진 케이스가 몇 케이스 있다고... 몸이 코로나를 이기려고 면역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며 그전에 못 알아보던 암세포까지 퇴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함. 물론 대부분은 암+코로나면 사망한 찾아보니 이미 화이자와 모더나는 이번에 성공한 mrna기술로 면역반응 이용한 암치료제도 개발중인 모양. 코로나 시대의 비극속에서 또 의료기술은 빠르게 발전하는 중.

중국 부자

와 중국은 현재 매장을 법적으로 금한 상태인데, 한 가족이 자기를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긴 고인을 위해 대신 화장할 시신을 브로커를 통해 구함. 근데 알고보니 브로커가 다운증후군 남성을 술먹이고 관에 밀어넣고 봉인해서 산채로 태웠다고 --;;;;

LG페이 철수

“LG페이도 문 닫습니다” 美서 퇴장 수순…한국은?

http://naver.me/5GyvZd4Q

미얀마

미얀마 속봅니다.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은 사실상 어려워진 상황입니다. 쿠데타에 반대하는 시민들 시위는 70일 넘게 이어졌지만 이제 거의 진압된 것으로 보입니다. 네, 만장일치가 필요한 안보리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계속 반대합니다. 10년전 유엔의 리비아 공습때는 중국과 러시아가 '기권'해서 가능했는데, 지금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입니다.

구글 타임랩스 200년

구글 어스(Google Earth)가 800개 이상의 2D와 또는 3D로 제작된 타임랩스(Timelapse) 동영상을 새롭게 업로드했다. 이번에 업로드한 타임랩스 영상은 1984년부터 2020년까지 37년 동안 촬영된 위성 사진을 활용해 제작됐다. 타임랩스 동영상 제작에는 구글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어스 엔진(Earth Engine)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활용됐으며, 구글 어스의 레베카 무어(Rebecca Moore) 이사가 구글 블로그에서 이를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