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is page
2021-04-06 뉴스 모음
On this page
2021-04-06 뉴스 모음
실제 비행기보다 비싼 루이뷔통 가방
실제 비행기보다 더 비싼 루이뷔통 비행기 테마 가방
$39,000(약 5천만원)으로 이베이에 올라온 단발엔진 1968 Cessna 150H 비행기($32,300)보다 비싸다고
https://jalopnik.com/i-cant-stop-looking-at-this-39-000-louis-vuitton-airpl-1846611907
애플 팟캐스트
애플에서 14년 일한 엔지니어가 애플에 대해 얘기하는 팟캐스트 에피소드인데 애플이 얼마나 좀 상식을 벗어난 수준의 비밀주의 회사인지 잘 나와있음 (...)
- 수많은 프로젝트가 비밀이었고 사람들은 오피스 자리를 비울때 일하던 것에 검은 천을 덮어놓고 오피스 문을 잠그고 다님.
- 같은 팀끼리 밥먹으러 같이 식당에 가지 말라고 함. 사람들이 저 사람들이 모여서 무슨 프로젝트를 하나 궁금해할 수 있기 때문에...
- 다른 팀에서 일하는 사람들끼리 점심먹으면 "무슨 일 하세요?"는 금기질문임. 대부분의 경우 말해줄수 없고 분위기가 어색해지기 때문에. 코로나 전 얘기지만 Lunch Ninja 같은 거 만들어서 다른 팀에서 일하는 사람끼리 랜덤으로 만나서 점심먹으며 뭐하는지 묻는게 당연한 곳에서 살다 보니 충격.
- 어떤 경우엔 스킵 매니저가 일을 시키면서 너만 알고 너의 매니저에겐 비밀로 하라고 함 (..)
- 제일 충격이었던 것. 이 에피소드의 인터뷰이 데이빗은 2천년대 초에 입사하자마자 정해진 플랫폼과 정해진 툴을 이용해 특정 하드웨어에 맥 파일시스템을 올리는 일을 맡음. 근데 이게 어디 쓰일 건지도 모르고 한참을 일하다 나중에 우연히 자기가 하는 일이 아이팟 만드는거란 걸 알게 됨 (..)
구글 vs 오라클, 자바 SE API사용은 공정했다고 구글이 최종 승리 (supremecourt.gov)
- 미국 연방 대법원 최종 판결문
- 6:2 로 구글이 승소
- 자바 API의 저작권은 인정하지만, 구글이 안드로이드에 자바 API를 사용한것은 '공정 이용(fair use)'에 해당
- 새 플랫폼을 만들면서 자바 API일부를 사용한 것은, 저작권 자체의 기본 목적인 '창의적인 진보(creative progress)'에 해당
- 2010년에 오라클의 제소로 시작된 세기의 저작권 소송이 10년만에 마무리
- 저작권을 인정은 하지만 공식 판결은 안하고, 공정 이용이라는 것만 판결에 넣은 것 같더군요. API 저작권 까지 다루는 것은 이 사건의 범위를 넘어간다고 판단한 듯 합니다.
똘똘한 검색 알고리즘을 만들기 위한 평가 방법 (shopify.engineering)
- Shopify가 상품검색에 이용했던 알고리즘을 전환하면서 정말 검색 결과가 좋아졌는지를 평가한 방법
- 기존 Vanilla PageRank : 검색에 기반한 PV로 순위 계산
- 신규 Query-specific PageRank : 검색어에 대한 클릭 히스토리 기반으로 가중치 계산
- 3단계로 평가
- 데이터 수집 : Kafka 이벤트와 Annotated 데이터 셋
- 오프라인 지표 평가 : 기존 검색 쿼리를 가지고 새 알고리즘을 평가
- Mean Average Precision(MAP) : 쿼리가 반환하는 상위 N개의 결과에 관련없는 문서들이 포함될 경우 페널티를 부여
- Normalized Discounted Cumulative Gain(NDCG) : MAP 계산을 위한 컷오프 점수를 계산, 좋은 점수(Great/Good) 아이템의 순서가 낮을경우 페널티를 부여
- 온라인 지표 평가 : 서치 로그를 이용해서 실제 검색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평가
- 성공을 결정하는 지표 : 사용자가 얼마나 자주 검색을 하고, 원하는 결과를 찾기위해 얼나마 스크롤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지원팀에 연락하는지 등
- Click-through rate (CTR): 검색결과 클릭율. 높아야 좋음
- Average rank: 클릭한 결과의 평균 순위. 낮아야 좋음
- Abandonment: 원하는 결과를 찾지 못한 포기율, 물론 봇/스팸 등의 영향도 있긴 하지만, 적당히 낮으면 좋음
- Kafka 를 이용해서 수집
- 기존 방식과 A/B 테스트 진행
- 성공을 결정하는 지표 : 사용자가 얼마나 자주 검색을 하고, 원하는 결과를 찾기위해 얼나마 스크롤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지원팀에 연락하는지 등
- 결과적으로 새 검색 알고리즘이 기존 방식을 상회해서 대체를 진행
- 키포인트
- 고품질의 신뢰할수 있는 레이블된 데이터셋이 평가의 핵심
- 온라인 지표들은 사용자 행동에 대한 훌륭한 인사이트를 제공
- 오프라인 지표들은 새로운 알고리즘을 빠르게 반복 테스트하고 위험을 줄이는 걸 도와줌
쿠팡 최저가의 비밀
- 국내 오픈마켓 방식과 다른 위너 시스템(상품명/설명/이미지/후기/문의 를 타 판매자에 넘겨줌, '고객 경험' 주장과 다른 실험결과, '최저가 우선')
- 정산에 평균 50일 소요 (경쟁사의 5배, 3/24 법안은 60일→쿠팡 반론에 악용)
- 정산이 늦어 항의가 빗발치자 KB국민은행과 제휴, 연 4.8% 대출(=빚) 제공. 물론 여기도 한도가 있어서 '티켓팅 경쟁'이 있음: 다른 오픈마켓은 정산일자를 당겨주고 있음
- 자체 브랜드(PB) 상품 출시, 입점 업체와 경쟁
- 공급가 인하 요구, 쿠팡 몫은 40%
- 미국 상장 쿠팡=지주회사(델라웨어州 위치)
재택근무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1133351&memberNo=22700030